김영록 전남지사, 광주 ‘통합공항 원점 재논의’ 사실상 거부
기자명 정진탄 기자 입력 2025.02.06 10:48
“무안서 더 수용성 높여야…광주·전남 공동발전 고려를”
“여객기 사고 계기, 역으로 문제 해결 여론으로 받아들여”
광주시, 광주공항 국제선 재취항 검토…갈등 새국면 진입
|
전남도청. 전남도 제공
김영록 전남지사가 광주시의 통합공항(민간·군공항) 이전 관련 ‘원점 재검토’ 방안에 사실상 거부 입장을 보였다.
김 지사는 5일 밤 KBS광주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군공항 이전 질문을 받고 “대승적으로 생각해서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무안에서도 좀 더 수용하는 그런 마음으로, 광주·전남의 공동발전을 위해 민간공항·군공항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와 민주당에서도 TF를 통해 앞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고 했다”면서도 “무안지역 발전을 좀 더 할 수 있는 그런 기회가 주어지고, 주민 수용성을 더 높여준다고 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으로 말해 해결해야 된다, 이런 여론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김 지사의 발언은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이후 광주공항 국제선을 다시 열어 광주공항을 대체공항으로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충돌한다.
특히 군공항 이전 플랜B를 제기한 강기정 광주시장은 4일 통합공항 이전에 대해 ‘원점에서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여러 해석을 낳는다.
강 시장은 “무안공항이 언제 다시 문을 열지도 불확실하고 또 설령 문을 연다고 하더라도 광주시민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겠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을까 또한 문제다. 통합 논의가 원점 재검토라고 말하기는 조심스럽지만 창의적인 고민이 필요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광주지역 안팎에선 그의 발언이 광주공항 국제선 재취항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추측을 하고 있다.
무안공항이 호남권 거점공항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면서다.
광주시는 이달 중순 정부와 전남도, 전문가, 지역민의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할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김영록 지사는 5일 도의회에서 올해 주요도정 방향 보고에서 무안공항 재개장과 관련 “최첨단 조류 감시·퇴치 시스템 등 주요 국제공항 수준의 항행안전시설을 확충할 것”이라며 “통합공항 이전의 여건을 마련해 동북아 관문공항으로 재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지사는 재개장 시기와 관련,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나 새떼 문제 등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오는 10월까지 문을 열 수 없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지역 여행업계를 중심으로 광주공항을 대체공항으로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광주관광협회에 따르면 여객기 참사 이후 지난달 14일까지 136개 여행업체에서 총 1789건의 여행 취소가 접수되고, 2만 656명이 여행을 포기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알림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군공항이전 공감대 확산 추진 방향 논의(... 고도제한, 소음피해 등 수원 군 공항으로 인해 피해를 겪고 있는 주민들과의 충분한 소통으로 여론을 파악하고...) (0) | 2025.02.06 |
---|---|
'올해 첫 의사일정' 제390회 임시회 개회…수원시의회, 15일간 의사일정 돌입 (0) | 2025.02.05 |
경기도, 2040년 수원 도시기본계획 승인…인구 128만명 목표 (1) | 2025.02.05 |
수원시, 2025년 2월 3일자 4급 승진 인사 (0) | 2025.02.04 |
[사설] 무안공항 참변을 경기국제공항에 꿰맞추지 마라 (1) | 2025.02.04 |